반응형
예시:
갑자일주는 술해공망이다
갑자일주는 편재(술토) 편인(해수) 공망이다
갑자일주는 양지 장생 공망이다
공망은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심리적 결핍이나 실현되지 않는 욕망, 집착까지도 함의합니다.
깨진 항아리에 물을 붓는 느낌이라는 표현은 공망의 핵심을 매우 잘 짚은 비유입니다.
공망은 즉 작용력이 없는 상태를 뜻합니다.
공망에 빠진 오행이나 십성은 힘이 미치지 못하거나, 작용이 무효화되거나, 혹은 내면에서는 갈망하지만 현실화되지 않음으로 해석됩니다.
기신인 글자가 공망이면 좋게 해석한다
공망이 충이되면 공망은 풀리게된다 ( 해공 )
갈망하지만 가질 수 없는 것
마치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이상향처럼, 집착하게 되지만 결과가 없음
예: 재성(재물)이 공망이면 돈에 대한 갈망은 크나, 현실에서는 지출이 많거나 재운이 불안정
내면적 허무감, 결핍감
성취했더라도 만족감이 부족하거나, 뭔가 허전함을 느끼는 경향
정관이 공망인 경우, 권위나 명예, 혹은 아버지상에 대한 결핍
실체 없는 것에 대한 집착
관계에서 상대를 이상화하거나, 실제 존재하지 않는 무언가를 사랑하거나 의지하려는 경향
식신이나 상관이 공망이면, 표현하고 싶지만 진짜 속마음이 드러나지 않음
비견/겁재 공망 | 자신감 부족, 친구/형제와의 단절감 |
식신/상관 공망 | 표현 욕구가 실현되지 않음, 창작이나 자식과의 인연 부족 |
정재/편재 공망 | 재물 운 불안정, 아버지와의 인연 약함, 연애 갈망 강하나 지속 어려움 |
정관/편관 공망 | 명예, 사회적 질서, 배우자와의 인연 부족, 결혼에 대한 이상화 |
정인/편인 공망 | 지식 추구, 모성, 학문적 열망은 크지만 성취는 느림 |
공망 = 깨진 항아리
항아리는 존재하지만,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
애써도 결과가 없고, 계속 채워 넣지만 채워지지 않는 느낌
이로 인해 강한 심리적 집착이나 반복적 행동이 나타날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