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 사주명리학

인복 없는 사주

by Ireta the Diviner 2025. 3. 30.
반응형

사주명리학에서 인복이 없는 사주는 대인관계에서 도움을 받기 어렵거나,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구조를 의미합니다.

 

인복이 없다는 것은 단순히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것이 아니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도움을 받기 어렵거나 배신, 고립, 인연 단절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사주를 뜻합니다.


인복 없는 사주

  1. 비겁이 강한 사주
    • 비견, 겁재가 지나치게 많으면 혼자 힘으로 뭔가를 해내려는 성향이 강하고, 사람들과 협력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 특히 겁재가 강하면 경쟁심이 강해지고, 남의 도움을 받기보다 빼앗거나 독단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큼.
    • 주변 사람과 쉽게 대립하게 되어 인연이 끊어지거나 배신을 경험하는 경우 많음.
  2. 관성이 약하거나 깨지는 경우
    • 관성(정관, 편관)은 질서를 의미하며, 사회적 관계와도 연결됨.
    • 관성이 너무 약하거나 충·형·파·해가 많으면 인간관계가 불안정해지고, 사회적 신뢰를 받기 어려워짐.
    • 관성이 극심하게 깨지는 구조일 경우, 권위자와의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타인에게 인정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3. 재성이 강한 사주
    • 재성이 강하면 돈이나 물질에 대한 집착이 강해지면서 인간관계를 금전적으로 이용하는 성향이 강해질 수 있음.
    • 특히 재성이 너무 강해서 비겁을 눌러버리는 경우, 주변 사람과 의리를 지키기보다는 돈과 이익을 우선하게 되어 인복이 떨어짐.
    • 이런 경우, 인간관계를 물질적으로만 따지는 성향이 강해지고, 돈 때문에 인간관계가 틀어지는 일이 많아짐.
  4. 인성이 없는 경우 또는 극심하게 깨지는 경우
    • 인성(정인, 편인)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는 요소이기 때문에, 인성이 없거나 약하면 귀인의 도움을 받기 어려움.
    • 특히 인성이 충·파·형으로 깨지면 부모, 스승, 귀인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혼자 힘으로 살아가야 하는 구조가 됨.
    • 편인이 너무 강한 경우, 자기만의 세계에 갇혀 사회적 관계를 기피하는 성향이 나타날 수도 있음.
  5. 사주에서 원진살, 고립살(고란살, 고신살, 과숙살), 백호살, 괴강살이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
    • 원진살: 인간관계에서 오해와 불화가 많음. 가까운 사람과의 관계가 자주 꼬이고 배신당하기 쉬움.
    • 고립살: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거나, 주변 사람과 쉽게 단절됨.
    • 백호살: 극단적인 상황이 많고, 대인관계에서 갈등이 심한 경우가 많음.
    • 괴강살: 강한 카리스마를 가지지만, 고독한 삶을 살 가능성이 큼.
비겁이 지나치게 강한 사주 혼자 힘으로 해결하려 하고, 경쟁심이 강해 협력이 어려움.
관성이 깨진 사주 인간관계에서 신뢰받기 어렵고, 사회적 지위가 불안정함.
재성이 비겁을 극하는 사주 돈과 이익을 우선시하여 인간관계가 금전적으로 얽히기 쉬움.
인성이 없는 사주 귀인의 도움을 받기 어렵고, 부모·스승과의 인연이 약함.
원진살, 고립살이 강한 사주 가까운 사람과 자주 멀어지고, 인간관계가 단절되기 쉬움.

  1. 비겁이 강하다면?
    • 독단적인 태도를 줄이고, 협력하는 자세를 기르는 것이 중요.
    • 인성과 관성을 보완하면 사람들과의 관계가 원만해짐.
  2. 관성이 약하다면?
    • 타인과의 신뢰를 쌓기 위해 약속을 철저히 지키고, 책임감을 키울 필요가 있음.
  3. 재성이 너무 강하다면?
    • 인간관계를 돈이나 이익 중심으로 생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4. 인성이 없다면?
    • 귀인의 도움을 받기 어려우므로, 스스로 공부하고 자기계발에 힘쓰는 것이 필요.

 

 

반응형

'B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이 많은 사주  (4) 2025.03.30
병화 외모  (1) 2025.03.30
경금운  (0) 2025.03.29
기토운  (0) 2025.03.29
12신살  (0) 2025.03.29